"백담사는 과거 한계사로 창건 후 1772년(영조51년)까지 운홍사, 삼원사, 선구사, 영취사로 불리다가 1783년에 최붕과 운담이 백담사라 개칭하였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백담사라는 사찰의 이름은 설악산 대청봉에서 절까지 작은 담이 100개가 있는 지점에 사찰을 세운 데에서 일컫게 되었다고 합니다.
백담사는 내설악의 아주 깊은 오지에 자리잡고 있어서 옛날에는 사람들이 좀처럼 찾기 힘든 수행처였습니다. 수많은 운수납자가 불원천리하고 이곳 백담사 계곡을 찾아 시원하게 흘러가는 계곡의 맑은 물에 객진번뇌를 털어내고 설악영봉의 푸른 구름을 벗을 삼아 출격장부의 기상을 다듬던 선불장이었습니다. '백담사 사적기'에 의하면 부속암자로서 유지만 남아있는 곳으로 동암, 원명암, 백련암, 축성암 등 8개의 암자가 있었습니다.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사는 1905년 이곳 백담사에서 머리를 깎고 입산수도하여 깨달음을 얻어 '조선불교유신론'과 '십현담주해'를 집필하고 '님의 침묵'이라는 시를 발표하는 등 불교유신과 개혁을 추친하였으며, 일제의 민족 침달에 항거하여 민족독립운동을 구상하였던 독립운동가로서도 이름을 높였습니다.
현재 백담사에는 극락보전, 나한전, 산령각, 법화실, 화엄실등 기존 건물 외에 만해 한용운 선사의 문학사상과 불교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만해기념관과 만해 교육관 외에도 일주문, 금강문, 불이문, 만복전, 요사채, 만해당, 농암실, 적선당 등 24개의 건물들이 있어 한국의 대표적인 고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백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으로 지정되어 갓 득도한 승려들이 참선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 오시는 길
▶ 자가용
서울 → 홍천 → 인제 → 용대리(약 2시간 30분)
강릉→양양 →속초 → 용대리(약 2시간)
강릉 → 양양 →한계령 → 용대리(약 2시간 30분)
▶ 시외버스
동서울 → 백담(용대리, 약 2시간 30분 소요) → 백담 매표소까지 도보 이동(10분 소요)
▶ 백담사 매표소에서 용대리 운행 버스
문의전화 : (주)용대향토기업 033) 462-3009
※ 시기별 운행시간이 다르므로 사전 문의 후 이용해야 착오가 없으며, 겨울에는 도로가 얼고 위험하여 운행이 중단됩니다."
[주요 프로그램]
"[백담사] 2025년 말한 바 없이 말하고 들은 바 없이 듣는 템플스테이
[백담사] 제32회 마음 하나 템플스테이
[백담사] 제218회 (휴식+체험) 꿈. 희망 숲명상 템플스테이
[백담사] 2025년 휴식형 템플스테이"
연락처 | 033-462-5565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백담로 746 |
대표 홈페이지 | https://www.templestay.com/fe/MI000000000000000019/temple/introView.do?templeId=SeoraksanBaekdamsa |